'바람만 스쳐도 아프다'는 말이 있는 통풍은 옛날에는 부유한 사람들에게서 많이 발생한다하여 '황제의 병'이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해 최근 국내에는 30대 이하의 젊은이들도 통풍을 겪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하는데요. 극심한 고통을 동반하는 통풍의 원인은 바로 혈액 속 요산이라는 물질입니다. 오늘은 요산수치가 높으면 어떻게 통풍을 발생시키는지, 요산수치를 낮추는 음식과 정상범위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통풍 원인
우리가 즐겨먹는 고기와 알코올에는 '퓨린'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습니다. 퓨린은 체내에서 '요산'이라는 찌꺼기를 만들어내는데 이 요산이 혈액 속에서 많아지면 통풍이 발생합니다. 요산은 바늘처럼 날카롭게 생겼기 때문에 주변 관절을 자극하고 심한 고통이 동반되는 것입니다. 자꾸만 주변 관절을 자극하면 염증도 발생하게 되겠죠. 혈액 속에 높은 요산수치를 오랜기간 지속하면 '고요산혈증' 판단을 받게 될 수도 있습니다. 통풍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하는 고요산혈증은 유전적으로 인해 발생하거나 잦은 과음, 비만, 고칼로리 음식 섭취 등이 원인이 되니 꾸준한 관리가 필요해요.
통풍의 발병은 대부분 급성 통풍발작부터 시작한다. 엄지발가락 부위에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팔꿈치, 발목, 무릎 관절도 자주 온다. 통풍 환자들은 대개 잠을 깰 정도의 격심한 관절통을 호소하는데 통풍 발작이 온 관절은 붉은 빛을 띠고 붓는다. 그러나 통풍 발작이 지나간 후 수주 혹은 수개월 동안 씻은 듯이 아무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음주, 과식, 수술 또는 관절을 다친 후에 통풍 발작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만성으로 진행되면 요산 결정체가 모여 관절과 관절주위 조직, 팔꿈치, 귀 등 여러 곳에 통풍결절이 생기게 되며, 연골과 뼈가 파괴되어 불구가 될 수도 있기에 발병 초기에 이러한 만성화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때로는 요산이 신장에 결석을 만들거나 신장기능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
요산수치 낮추는 음식
혹시라도 건강검진을 받았는데 요산수치가 높게 나온 경우에는 퓨린 성분이 함유된 음식을 피하고 식습관을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특히 참치 통조림, 맥주, 돼지 내장 및 지방 부위, 등 푸른 생선 등에 퓨린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섭취할 때에는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요산수치를 낮추는 음식으로는 우유와 과일이 퓨린 함량이 적어 추천드릴 수 있습니다. 또한 각종 채소도 대체로 요산수치 관리에 좋은데 시금치나 버섯, 아스파라거스는 채소 중에서도 퓨린 함량이 높은 편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물은 하루에 3L 정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요산을 체외로 배출하는 것을 도와주며 결석이 생기는 것도 어느 정도 막아줄 수 있습니다. 격한 운동을 집중적으로 하는 것보다는 가벼운 운동을 꾸준히 오랜 기간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체중이 급격하게 증가하지 않도록 항상 관리에 힘써야 합니다.
통풍 환자라면 퓨린 함량이 높은 음식 섭취를 제한해야 한다. 통풍 환자가 먹어도 좋은 음식으로는 두부, 달걀, 저지방 유제품, 우유, 채소 등을 꼽을 수 있다. 육류와 생선(등푸른 생선 제외), 시금치, 버섯, 콩 등은 통풍이 회복된 후에 섭취 가능하다. 반면에 고등어, 멸치, 오징어젓갈, 소고기 무국 등은 퓨린 함량이 높아 최대한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국이나 탕의 국물을 다 먹지 않고 건더기만 먹는 것도 퓨린 섭취를 줄이는 좋은 방법이다.
요산수치 정상 범위
요산수치의 정상 범위는 혈액 100ml 당 4~7mg 정도이며 여성은 남성보다 다소 낮은 편입니다. 7mg을 초과하면 위험 수준으로 보고 있으며 10mg이 넘으면 높은 요산수치로 인해 발작 등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으니 내원을 통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요산수치 보는 방법
통풍이란 몸 안에 요산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다. 따라서 요산수치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요산의 정상 범위는 17세 이상 성인의 경우 남자는 3.4~7.0㎎/㎗, 여자는 2.4~6.0㎎/㎗이며, 1일에 배설되는 요산의 양은 약 400?900mg으로 그 이상이 되면 이상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통풍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체내 요산 수치를 정상(3~7㎎/㎗)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요산은 격렬한 운동이나 스트레스 등으로 체내에서 만들어질 뿐만 아니라 퓨린체를 다량 함유한 식품을 섭취할 경우에도 상승한다. 요산은 신장에 이상이 있을 때도 수치가 증가한다.
요산 수치가 13㎎/㎗이면 약물치료
요산 수치가 높다고 해서 약물치료를 하는 것은 아니다. 고요산혈증 환자의 약 10%에서만 통풍이 발생하기 때문에 증상이 생기기 전까지는 요산수치를 높일 수 있는 조건을 조심하면 된다. 하지만 요산 수치가 높으면 높을수록 통풍이 발생하기 쉬우며 요산 수치가 13㎎/㎗ 이상인 경우에는 증상이 없더라도 약물치료를 시작하게 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