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비염이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떠올릴 때 흔히 환절기에 재채기를 자주 하는 모습을 떠올립니다. 이는 알레르기성 비염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모습인데요. 우리가 잘 인지하지 못하고 있던 비염의 증상도 있습니다. 바로 뜨겁거나 매운 찌개, 국물류의 요리를 먹을 때 콧물이 나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모든 사람이 그런 것이 아니라 혈관운동성 비염을 가지고 있는 사람만 겪는 현상입니다. 내가 비염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몰랐던 분들에게는 흥미로울 수 있는, 뜨거운거 먹을때 콧물이 나는 원인에 대해 오늘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뜨거운거 먹을때 콧물이 나는 원인
뜨겁거나 매운 음식을 먹을 때 콧물이 나는 것은 모든 사람이 겪는 현상이 아닙니다. 혈관운동성 비염이 있는 사람들만 겪는 현상인데, 알레르기 비염이나 부비동염 등은 특정 항원에 의한 자극으로 인해 재채기, 콧물, 간지러움 등이 발생하는 것과 다르게 혈관운동성 비염은 일상 속 비특정적인 외부 자극에 의해 콧물이 발생합니다. 맵거나 뜨거운 음식 외에도 담배 연기나 실외와 실내 온도의 차이, 일교차 등에 의해 콧물이나 재채기를 경험한 적이 있을 것입니다. 무해한 자극에 대해 과민하게 반응하는 증상이 바로 혈관운동성 비염의 원인입니다.
혈관운동성 비염은 포괄적인 용어로 알레르기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 아닌 비염을 말합니다. 부교감신경에 의해 혈관이 확장되면 서 나타나는데 화학물질, 흡연, 호르몬(특히 여성), 환경(온도, 습도, 날씨 등), 알코올, 음식, 운동, 감정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관운동성 비염의 가장 흔한 증상은 코막힘과 콧물이다. 특이 항원에 의한 자극 때문에 드러나는 알레르기 비염과 달리, 온도 변화, 기후의 급격한 변화, 담배연기나 음식을 먹은 뒤, 향수 냄새 등 비특이적 외부 자극 요인에 의해 비강 점막이 과민하게 반응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혈관운동성 비염
혈관운동성 비염은 알레르기성 비염에 비해 맑은 콧물이 갑자기 많이 나는 것이 주요 증상입니다. 재채기나 간지러움 등은 동반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맑은 콧물이 흘러내리는 현상은 나이가 들수록 더욱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성인 비염 환자의 대부분은 온도 차가 발생하였을 때 코의 점막이 이를 조절하지 못하면서 비염 증세를 보인다. 그 때문에 기상 시. 자기 전, 나들이할 때. 외출했다 들어올 때와 같이 온도 차와 환경의 차이가 발생할 때 심해진다. 1년을 기준으로 볼 때 일교차가 크고 추위와 더위의 경계에 있는 가을이 시작되는 환절기에 가장 활발하게 드러나며 이를 병명으로 ‘혈관운동성 비염’이라 한다. 이는 축농증이나 알레르기성 비염이 아니면서 콧물과 코막힘을 증상으로 하는 대표적인 비 알레르기성 비염이다.
아침, 저녁 또는 실내외의 기온 차, 계절이 바뀔 때 등 급격한 온ㆍ습도 변화로 인해 유발된다. 일상에서 뜨겁거나 짜고 매운 음식을 먹을 때, 술 마실 때, 향수, 담배냄새를 맡을 때, 감정변화가 있을 때 갑작스럽게 악화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늦여름 초가을 환절기에 증상이 심해지는데 이는 몸의 체온조절 리듬이 열은 쉽게 발산시키지만 열을 생산하지는 못하는 여름 상태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새벽녘 서늘함에 대한 몸의 대처가 느리고 미흡하면서 드러난다. 이에 따라 코 내부 점막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혈액과 체액이 몰리면서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된다.
혈관운동성 비염 완화하는 방법
혈관운동성 비염은 완전히 사라지거나 100% 근본적으로 개선하기는 어렵습니다. 주변의 환경에 따라 계속 나타나기 때문에 뛰어나게 뜨겁거나 매운 음식을 피하고 담배연기, 내외부 온도차, 일교차를 조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염에 좋다고 알려진 음식을 가까이하고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내원을 통해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