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설탕대체 감미료 에리스리톨, 에리스톨 효능 당뇨, 에리스톨 칼로리 부작용
[생활정보]

[생활정보] 설탕대체 감미료 에리스리톨, 에리스톨 효능 당뇨, 에리스톨 칼로리 부작용

슈가콩 2025. 4. 3.
반응형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설탕대체 감미료에 대한 관심도 함께 늘어나고 있습니다. 저도 이전 포스팅에서 설탕대체 감미료인 스테비아와 알룰로스에 대해서 비교하면서 설명해 드린 적이 있는데요:) 그 외에도 설탕대체 감미료의 종류는 자일리톨, 소르비톨, 아스파탐 등 다양합니다. 오늘은 많은 설탕대체 감미료 중 에리스리톨의 효능과 칼로리, 부작용에 대해 정리해 보고 당뇨를 갖고 있는 사람들도 섭취할 수 있는지 알아볼게요.

 

에리스리톨 효능

설탕대체 감미료에는 아스파탐 같은 인공 감미료와 스테비아, 알룰로스, 에리스리톨이 속한 천연 감미료로 나뉩니다. 에리스리톨은 과일이나 채소, 효모와 같은 발효식품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성분이며 나온 지는 30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는 인기 대체 감미료로 자리 잡았습니다. 하지만 자연적으로 수확되는 에리스리톨의 양은 극히 소량이라 시중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에리스리톨은 합성 감미료로 만들어진 경우가 많습니다.

 

에리스리톨은 칼로리가 적어서 체중을 관리하는 분들에게 부담 없이 단맛을 즐길 수 있게 해줍니다. 또한 에리스리톨은 우리 신체 내에 남지 않고 소변을 통해 대부분 배출되며 구강에서 대사되지 않아 충치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에리스리톨의 화학적 구조를 살펴보면 당의 특성과 알코올의 특성을 모두 가진 당알코올입니다. 당알코올에는 에탄올이 없어 일반적인 '술'처럼 작용하지는 않으니 안심하셔도 됩니다. 대체로 설탕대체 감미료는 설탕보다 많게는 수백 배, 적게는 수십 배 강한 단맛을 가집니다. 하지만 에리스리톨과 알룰로스는 설탕의 70% 수준의 단맛만 내기 때문에 설탕과 동일한 단맛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약간 더 많은 양을 첨가해야 한답니다.

 

에리스리톨 칼로리

에리스리톨도 당이며 탄수화물이기 때문에 열량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1g당 0.25kcal로 칼로리가 매우 낮습니다. 설탕은 1g에 4kcal, 비슷한 대체 감미료인 자일리톨은 1g에 2.4kcal인 것을 감안하면 굉장히 적은 수치임을 알 수 있습니다. 보통 칼로리가 1kcal 미만이면 0kcal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아 에리스리톨은 제로 칼로리 설탕대체 감미료인 셈입니다.

 

에리스리톨 당뇨 및 혈당

미국당뇨협회의 발표에 따르면 에리스리톨과 같은 당알코올 성분의 설탕대체 감미료는 혈당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감미료에 비해 월등히 낮다고 합니다. 에리스리톨은 혈당 수치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아 당뇨를 가지신 분들이 섭취하기에 적합한 재료입니다.

 

에리스리톨 부작용

에리스리톨은 대체로 안전한 편이지만 한 번에 많은 양을 섭취하면 복통이나 설사, 구토 등에 시달릴 수 있어요. 참고로 에리스리톨의 하루 권장량은 체중 1kg당 1g을 권장하고 있으며 한 번에 50g 이상 섭취 시 과다 섭취로 봅니다. 또한 사용 전에 에리스리톨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지 꼭 체크해 보아야 하며 기저 질환이 있으신 분들은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고 안전하게 섭취하는 방법입니다.

에리스톨이 심혈관 질환을 높인다는 연구가 있으나, 사실상 해당 결과에 대해 긍정적인 여론보다는 비판적인 여론이 더 많은 편입니다. 연구 자체가 심혈관 질환 경험자들을 대상으로 했음에도 그 사실을 숨겼고, 에리스톨 섭취가 아닌 기존 혈중 에리스톨 농도가 높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했기에 부정확하다는 말들도 많습니다. 그래서 에리스톨과 심혈관 질환에 대한 연관관계는 아직 더 지켜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당알코올의 특성상 하루 권장량인 50g 이상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속이 더부룩하거나 설사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적당량을 섭취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에리스톨
에리스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