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궁금증해결]46 팽이가 돌아가는 원리는 무엇일까? 팽이는 왜 돌아갈까? 팽이의 기원팽이의 시초는 숲에서 주워 온 도토리를 돌리며 즐기던 놀이였을 것으로 추측하는데 자연물을 이용하여 재미를 찾으려 했던 인류의 본능이 팽이라는 놀이 도구를 탄생시킨 것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팽이는 고대 이집트에서 발견된 나무와 돌로 만든 팽이라고 하는데 이는 팽이가 이미 수천 년 전부터 인류의 삶 속에 자리 잡고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팽이는 단순한 놀이 도구를 넘어 도박이나 예언에 사용되기도 했으며 팽이가 어떤 방향으로 굴러가는지에 따라 미래를 점치거나 승부를 가리기도 했던 것입니다. 팽이가 돌아가는 까닭은?팽이가 계속해서 돌 수 있는 까닭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관성이다. 회전하는 물체는 축을 중심으로 계속 회전하려는 회전 관성을 가지고 있다. 회전 관성은 질량이 클수록 크기 때문에 팽이.. [궁금증해결] 2024. 9. 1. 설날에는 떡국을 먹어야할까? 떡국에 담긴 의미와 해석 알아보기 설날에는 떡국을 먹어야할까?설날이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반드시 떡국을 먹는데 지금은 전통 민속이 많이 사라지고, 전통 민속의 의미가 퇴 색했기 때문에 굳이 떡국에 큰 의미를 두지 않지만 1세기 전까지만 해도 달랐다고 하는데요. 혹시 설날 떡국을 먹지 않으면 무슨 큰일이라도 날줄 알았던 우리나라 사람들이다. 일제 강점기 동아일보의 신문기사를 보면 1927년 2월 3일자 기사에는 입던 치마를 저당 잡히고라도 떡 살 돈을 마련해 아이 들에게 떡국을 먹이고 싶은 어머니의 모정이 절절하게 그려져 있다.떡국을 먹어야 나이를 먹는다?나이를 물을 때 떡국 몇 그릇 먹었냐?고 묻는 것은 우리나라에서 꽤 오래 된 풍습이었던 모양인데 조선 순조 때의 세시풍속을 기록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도 설날이면 떡국을 끓여 손님을 대.. [궁금증해결] 2024. 8. 30. 토마토는 언제 우리나라에 들어왔을까?, 토마토는 채소일까 과일일까? 토마토는 스페인을 통해 필리핀에 전해졌고, 필리핀에서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아시아 전역으로 퍼졌는데 그렇다면 우리나라에는 언제 토마토가 전해졌을까?토마토의 전래토마토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광해군 때 이수광이 쓴 지봉유설(芝峯類說)에 처음 등장하는데 지봉유설에는 토마토를 남쪽 오랑캐 땅에서 전해진 감이라서 남만시(南蠻侍ᰘ)라고 했고, 일년 생 풀에서 열리기 때문에 풀에서 열리는 감(草ᰘ)이라고 했다. 봄에 자라서 가을에 열매를 맺는데 맛은 감하고 비슷하고 본래 남만의 과일로 근래에 중국에 다녀 온 사신이 종자를 구해 온 외국과일이라고 적었다. 이수광의 지봉유설은 1614년에 쓰여진 책으로 임진왜란이 끝난 후 18년이 지났을 때이며 이수광 이 지봉유설을 편찬하기 직전에 토마토가 조선에 전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궁금증해결] 2024. 8. 29. 동지 팥죽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동지팥죽 유래, 동지팥죽 먹는 이유 동짓날 팥죽을 먹는 것이 우리 민속으로 귀신 이 팥의 붉은색을 싫어하기 때문에 팥죽을 먹으면 액땜을 할 수 있다고 믿었는데 이 이야기는 조선 순조 때의 풍속을 적은 동국세 시기에 설명이 나온다.동지 팥죽에 얽힌 이야기지금은 대부분 사라졌지만 집집마다 팥죽을 뿌리는 풍속은 20세기 중후반까지도 남아 있었는데 근대 초기, 일제 강점기 때 언론인이며 문인이었던 최영년이 쓴 『해동죽지(海東竹枝)』를 보면 동 짓날이면 팥죽을 쑤어 먹었을 뿐 아니라 집안의 방, 장독대, 헛간 등 집 구석구석에 팥죽을 놓아두고 문에는 팥죽을 바르거나 사방에 팥죽을 뿌려 귀신이 들어는 것을 막는 풍속이라고 했다. 동지팥죽은 팥을 삶아 쑨 죽으로, 우리나라에서 동짓날(음력 11월 8일)에 즐겨 먹는 음식입니다. 팥의 붉은 색은 악귀를 .. [궁금증해결] 2024. 8. 29. 이전 1 ··· 5 6 7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