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548 고추는 언제 전래되었을까? 언제 우리나라에 고추가 들어왔을까? 고추의 남방 전래설고추의 남방 전래설 우리나라 사람이 유독 즐겨 먹는 고추는 사실 김치의 역사만큼이나 우리나라의 식품역사와 오랫동안 함께 해왔기에(북방 전래설) 고추를 빼고 김치, 고추장을 생각할 수 없는 것은 보편적인 생각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최남선의 『고사통(故事通)』이라는 역사서에서 임진왜란 이후에 발견된 백과사전 격인 『산림경제(山林經濟)』와 『성호사설(星湖僿說)』에 고추와 관련된 이름과 재배법이 처음으로 기술되고 있었음을 근거로 유럽의 고추가 담배와 같이 임진왜란 때 일본군이 갖고 들어 왔을 것이라 추정하게 되었다. 또한 이성우가 이수광의『지봉유설(芝峰類設)』의 왜개자(倭芥子)를 언급하면서 왜자로 보아 일본에서 들어왔다고 말해도 좋을 것 같다고 하였는데 바로 이 논문에서 말해도 좋을 것 같다.. [궁금증해결] 2024. 9. 3. 동물과 생물은 어떻게 구분할까? 동물과 생물의 분류 기준에 대해 알아보기 분류란 사물을 공통적인 성질에 따라 나누는 것으로 분류하는 사람의 생각에 따라 분류 결과가 달라지지 않도 록 분류 기준은 명확한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분류를 잘하기 위해서 정확한 분류 기준을 찾는 것도 중요하지만, 분류한 것을 얼마나 쓸모 있게 사용하는지도 중요하다. 옛날부터 사람들은 필요에 따라 생물을 분류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 예를 들면 먹을 수 있는 것과 먹을 수 없는 것, 약으로 쓸 수 있는 것과 약으로 쓸 수 없는 것 등으로 생물을 나누었다. 이렇게 이용 목적이나 사는 장소 등과 같이 자신만의 견해로 분류하는 방법을 인위 분류라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인위 분류는 자신 의 견해로 판단하여 분류한 것이므로 누구나 같은 분류 결과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분류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궁금증해결] 2024. 9. 3. 세시풍속이란 무엇일까? 조선시대 4대 명절 이야기 세시풍속은 무엇일까요?세시풍속이란 1년 중 특별하다고 생각되는 날에 사람들이 지켜왔던 생활 습관이에요. 그런데 이 특별한 날은 1년에 한 번으로 끝나지 않고 매년 반복된다는 특징이 있어요. 예를 들면 해마다 음력 1월 1일은 설날, 음력 5월 5일은 단오인 것처럼 말이죠. 우리 역사 속에서 가장 오래된 세시 풍속은 부여, 고구려, 동예, 삼한 등의 제천행사라고 할 수 있어요. 이 국가들은 철기 문화를 바탕으로 만주와 한반도에 세워졌어요. 각 나라의 고유한 풍습은 조금씩 달랐지만 대부분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제천행사를 열었어요. 제천행사는 대체로 10월에 열렸는데, 곡식 수확에 감사하며 다음 해에도 풍년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았어요. 삼국 시대가 되면 이전의 제천 행사가 그대로 이어지면서도 나라를 세운.. [궁금증해결] 2024. 9. 2. 팽이가 돌아가는 원리는 무엇일까? 팽이는 왜 돌아갈까? 팽이의 기원팽이의 시초는 숲에서 주워 온 도토리를 돌리며 즐기던 놀이였을 것으로 추측하는데 자연물을 이용하여 재미를 찾으려 했던 인류의 본능이 팽이라는 놀이 도구를 탄생시킨 것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팽이는 고대 이집트에서 발견된 나무와 돌로 만든 팽이라고 하는데 이는 팽이가 이미 수천 년 전부터 인류의 삶 속에 자리 잡고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팽이는 단순한 놀이 도구를 넘어 도박이나 예언에 사용되기도 했으며 팽이가 어떤 방향으로 굴러가는지에 따라 미래를 점치거나 승부를 가리기도 했던 것입니다. 팽이가 돌아가는 까닭은?팽이가 계속해서 돌 수 있는 까닭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관성이다. 회전하는 물체는 축을 중심으로 계속 회전하려는 회전 관성을 가지고 있다. 회전 관성은 질량이 클수록 크기 때문에 팽이.. [궁금증해결] 2024. 9. 1. 설날에는 떡국을 먹어야할까? 떡국에 담긴 의미와 해석 알아보기 설날에는 떡국을 먹어야할까?설날이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반드시 떡국을 먹는데 지금은 전통 민속이 많이 사라지고, 전통 민속의 의미가 퇴 색했기 때문에 굳이 떡국에 큰 의미를 두지 않지만 1세기 전까지만 해도 달랐다고 하는데요. 혹시 설날 떡국을 먹지 않으면 무슨 큰일이라도 날줄 알았던 우리나라 사람들이다. 일제 강점기 동아일보의 신문기사를 보면 1927년 2월 3일자 기사에는 입던 치마를 저당 잡히고라도 떡 살 돈을 마련해 아이 들에게 떡국을 먹이고 싶은 어머니의 모정이 절절하게 그려져 있다.떡국을 먹어야 나이를 먹는다?나이를 물을 때 떡국 몇 그릇 먹었냐?고 묻는 것은 우리나라에서 꽤 오래 된 풍습이었던 모양인데 조선 순조 때의 세시풍속을 기록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도 설날이면 떡국을 끓여 손님을 대.. [궁금증해결] 2024. 8. 30. 토마토는 언제 우리나라에 들어왔을까?, 토마토는 채소일까 과일일까? 토마토는 스페인을 통해 필리핀에 전해졌고, 필리핀에서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아시아 전역으로 퍼졌는데 그렇다면 우리나라에는 언제 토마토가 전해졌을까?토마토의 전래토마토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광해군 때 이수광이 쓴 지봉유설(芝峯類說)에 처음 등장하는데 지봉유설에는 토마토를 남쪽 오랑캐 땅에서 전해진 감이라서 남만시(南蠻侍ᰘ)라고 했고, 일년 생 풀에서 열리기 때문에 풀에서 열리는 감(草ᰘ)이라고 했다. 봄에 자라서 가을에 열매를 맺는데 맛은 감하고 비슷하고 본래 남만의 과일로 근래에 중국에 다녀 온 사신이 종자를 구해 온 외국과일이라고 적었다. 이수광의 지봉유설은 1614년에 쓰여진 책으로 임진왜란이 끝난 후 18년이 지났을 때이며 이수광 이 지봉유설을 편찬하기 직전에 토마토가 조선에 전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궁금증해결] 2024. 8. 29. 이전 1 ··· 88 89 90 91 9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