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궁금증해결]46 도루묵이라는 생선은 무엇일까? 말짱 도루묵 속담에 얽힌 이야기 하지만 따지고 보면 도루묵이 그렇게까지 형편없는 생선은 아니다. 입맛 이야 사람 따라 다르겠지만 말짱 도루묵이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맛없는 물고기가 아니다. 나름 특별 한 맛과 멋이 있다. 통통하게 살찐 도루묵 구이는 별미다. 얼큰한 도루묵 조림과 찌개는 밥 한 공기를 뚝딱 비우게 만 드는 밥도둑이고 막걸리에 소주를 부르는 술 도둑이다.도루묵과 선조 임금 이야기, 말짱 도루묵도루묵은 맛없는 생선의 대명사 쯤 된다. 맛이 없으니 도로 묵이라고 하라며 까탈을 부린 주인공은 임진왜란 때의 선조로 알려져 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가 북쪽으로 피난길을 떠났다. 배가 고팠던 선조가 수랏상에 올라온 생선을 맛있게 먹은 후 그 이름을 물었다. 묵이라는 생선이라고 하자 맛있는 생선에 어울리는 이름이 아니라며 즉석 .. [궁금증해결] 2024. 10. 10. 단팥빵에 참깨가 올라가는 이유는 무엇일까? 단팥빵 구분하는 팁, 단팥빵 가운데 움푹 들어간 이유 빵은 오랜 역사를 가진 음식이며, 전 세계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빵은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발전하며 사람들에게 영양과 맛을 제공할 것입니다.빵의 역사와 유래빵은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음식 중 하나이며, 최초의 빵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곡물 낱알을 가루로 만들어 물과 섞어 반죽을 만든 후 불에 구워 만든 것으로 추측됩니다. 가장 오래된 빵 유물은 요르단 북동부의 나투프 수렵 유적 슈바이카에서 출토되었으며 약 14,500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발효빵이 만들어진 곳은 고대 이집트로, 이 곳에서 빵을 처음으로 주식으로 삼기 시작했습니다. 당시에는 발효 기술이 발달하진 못해서 부풀린 빵보다 페이스트리 형태 빵 종류가 더 많았으며 대부분이 난의 시조격.. [궁금증해결] 2024. 10. 9. 수원이 낳은 여류 화가 나혜석은 누구일까? 나혜석 거리 오늘은 인계동 먹자골목 거리에 있는 나혜석 거리에 가봤습니다. 이름은 생소하지만 거리에 붙여져있다면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해서 궁금해서 지나가는 길에 들러보았습니다. 여름이라서 그런지 나무그늘과 분수대가 가동을 하고 있어서 뛰어놀고 있는 아이들이 보입니다. 나혜석 인물 소개나혜석 (1896-1948), 다방면으로 활약한 여성 예술가이며 나혜석은 일제강점기에 화가, 작가, 시인, 조각가, 여성운동가, 사회운동가, 언론인으로 활약하며 한국 근대 문화에 큰 발자취를 남긴 인물입니다. 경기도 수원의 명문가에서 태어난 나혜석은 어린 시절부터 예술적 재능을 드러냈으며 1913년 일본으로 유학하여 도쿄 미술학교에서 서양화를 공부했고, 이후 유럽으로 건너가 파리에서 더욱 심도 있는 예술 교육을 받았습니다.나혜석은 한.. [궁금증해결] 2024. 10. 7. 대학로 혜화역 부근 주차하기 좋은 주차장은 어디? 대학로 저렴한 주차장 유니플렉스 오늘은 대학로 공연을 연 2주에 걸쳐서 보러갔었는데요. 매번 갈때마다 이용했던 저렴하고도 대학로에서 가까운 주차장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이름이 비슷하죠. 네 맞아요 대학로에 있는 유니플렉스 공연장와 이름이 같죠. 물어보니 유니플렉스 소극장에서 공연을 보면 더 할인율이 높더라구요. 하지만 우리는 다른 공연을 보러 온 터라 주차만 하기위한 목적입니다.대학로 유니플렉스 주차장 위치 및 영업시간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3길 29, 혜화역 1번 출구에서 347미터 정도 / 월~ 일요일 까지 07:30~23:00 까지 영업합니다.주차요금 및 주차방식주차요금은30분에 2000원, 240분은 16000원의 요금이 책정됩니다. 종일권이 18000원인데 스트레스 받지 마시고 종일권 끊으시는 걸 추천합니다. 평일은 13.. [궁금증해결] 2024. 10. 3. 비빔밥의 종류, 지역별 대표 비빔밥은 무엇일까? 비빔밥의 역사와 유래 여러 종류의 음식재료를 한 곳에 모아 넣고 비벼서 새로 운 맛을 창조하는 비빔밥은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한국 고유의 음식이다. 한국인은 옛날부터 여러 음식을 섞어서 비벼 먹는 것을 특별히 좋아했던 모양이다. 조선의 선비 중에는 비빔밥 예찬 론을 편 사람들이 한 두 명이 아니고 그 때문인지 조선시대 에 이미 다양한 종류의 비빔밥이 발달했다.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해서 특별할 것도 없고, 또 평소에 먹는 반찬을 밥에다 넣고 고추장이나 간장 으로 비비면 되는 간단한 음식이니까 먼 옛날부터 조상 대대로 먹었을 것 같지만 상식과 달리 비빔밥 은 누구나 아무 때고 먹을 수 있는 음식이 아니었을 수 있다. 더욱이 지금 우리가 먹는 비빔밥처럼 갖 가지 양념을 넣고 제대로 비빈 비빔밥은 그 역사가 생각보다 훨씬 .. [궁금증해결] 2024. 9. 30. 달디달고 단 밤양갱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양갱의 유래 양갱은 팥으로 만든 과자로 팥을 삶아 체에 걸러 나온 앙금에다 설탕과 한천을 섞어 굳혀서 만드는데 우리나라 전통과자인 한과(韓菓)로 알고 있는 사람도 적지 않지만 사실은 일본에서 발달한 일본 과자이다. 일본말로는 요우깡(ようかん)이라고 불리며 해방 후 국내 제과업체인 해태제과에서 일본계 제과회사를 인수하면서 대표 제품을 그대로 이어받아 우리 입맛에 맞도록 변형해 만든 것이 지금까지 이어졌다. 당시 양갱 한개의 가격이 50환, 100환짜리 두 종류가 있었다고 하고 당시의 막걸리 한 되 가격이 150환이었다고 하니 당시의 물가 시세, 그리고 경제 규모 등을 고려했을 때 아이들이 군것질 거리로 마구 사먹을 수 있는 가격은 아니었다.양갱(羊羹)의 유래과자에 양고기 국이라는 뜻의 기상천외한 이름이 생긴 까닭은 양.. [궁금증해결] 2024. 9. 25.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반응형